측량 · 수로조사 및 지적

조석관측

건설시공 측량기술사 2019. 6. 21. 18:41

22. 조석관측


1. 조석관측

    관측대상 지역의 정확한 해수면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1년이상의 장기적인 조석관측을 수행해야

    높은 정확도의 해수면의 높이성과를 얻을수 있다.


2. 조석관측의 목적

    (1) 높이 기준면 결정

         - M.S.L(관측지역의 평균해수면)

         - D.L(기본수준면) 약최저저조면

         - AHHW(약최고고조면)

    (2) 해양 물리학 자료 취득

    (3) 수심(조위 결정)

    (4) 영해 기점의 결정

    (5) 조석예보 및 지진 및 지각변동 조사

    (6) 해양조석부하 관측


3. 조석관측의 순서

    조위계 설치 - 기본수준점 설치 - 관측 - 수위변환 - 조화분해 - 높이결정


4. 관측 방법

    (1) 검조주 : 직벽 기둥에 설치하여 10분 단위로 관측

    (2) 수압식 자동검조위 : 해수 승강으로 변하는 수압을 자동으로 기록하여 관측

    (3) 부표식 자동검조위 : 우물을 파고 해수를 담아 부표의 높이를 관측 , 장기적 관측 주요지점에 조석관측에 활용

    (4) 해저 검조의 : 수면에 부표를 설치하여 관측, 먼바다의 조석관측에 활용


5. 조석관측시 유의사항

    (1) 1일 1회 검조의를 점검

    (2) 자동기록계는 표준시(9H)와 일치시켜 관측

    (3) 독치 기준선은 이유없이 변경을 금지함

    (4) 0점과 조고기준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기준관측을 실시(주변 영구 자연,인공구조물 관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