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D(세밀도) LOD(세밀도) 1. 개요 LOD란 영상의 각각의 객체를 가까운 객체는 자세히 표현하고 먼 객체는 상대적으로 대략 표현하는 기법으로 3차원 공간정보의 데이터량이 많아져 자료의 전송과 시각화를 효율적으로 처리 및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기법을 LOD(세밀도)라 한다. 2. 특 징 (1) 객체가 가까울.. 측량 · 지형공간정보 2019.08.28
POI(국가관심지점정보) 131. POI 국가관심지점정보 1. POI란 국가, 공공기관, 지자체, 기업 등에서 취득된 여러 공간데이터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쉽도록 가공, 정제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작업없이 국가기본도를 기반으로 사용이 가능토록 구축한 위치정보를 말한다. 2. 구축배경 모바일의 대중화 확대 LBS 수요증.. 측량 · 지형공간정보 2019.06.27
국토관측위성 108. 국토관측위성 1. 국토관측위성이란? 우리나라의 위성개발 프로그램은 빠른 기술습득과 국가안보분야의 활용목적으로 운용되어 공공분야의 활용에 제약을 많이 받아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부는 공공분야에 활용을 극대화 하기 위해 국토관측위성 1~2호기를 (20~21년)발사하여 활용하.. 측량 · 지형공간정보 2019.06.10
MMS(모바일맵핑시스템) 28. MMS란? 차량이나 항공기, 드론등에 GNSS/INS, DMI, LiDAR, CCD카메라등 여러센서들을 조합, 탑재기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도모 및 주변의 지형을 3차원좌표로 취득 DEM 및 영상을 제작하여 3차원정밀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개발된 신기술로 자율주행자동차 활용을 위한 3차원 정밀도로지도 제.. 측량 · 지형공간정보 2019.06.08
디지털 트윈 17. 디지털 트윈 1. 디지털 트윈이란? 컴퓨터에서 현실과 똑같은 쌍둥이를 만들어 발생될수 있는 여러 상황들을 시뮬레이션 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실세계에서 활용성을 극대화 할수 있는 신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시스템이다. 2. 디지털 트윈의 특징 (1) 현실세계와 디지.. 측량 · 지형공간정보 2019.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