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50

건설공사(토목, 건축)의 페러다임의 변화 스마트건설기술

1. 스마트건설기술이란? 경험의존적, 노동집약적인 전통 토목,건축공사 기술에 드론, 로보틱스, BIM, IoT, 빅데이터등의 첨단 스마트기술을 융합하여 건설공사 전과정의 디지털화, 건설장비 자동화, 가상건설(디지털트윈), 현장 안전관리등을 접목하여 생산성과 안정성을 극대화된 정보기반산업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스마트건설 기술이라 한다. 2. 스마트건설의 발전방향 (1) 건설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빅데이터 및 시뮬레이션등을 통한 정보기반산업으로 전환 (2) 정보통신기술(ICT), 드론, 로보틱스 등 타분야 첨단기술 접목 (3) 3D시각의 정보를 설계, 계획단계에 적용하여 건설계획 수립 및 정책결정에 정확한 정보제공 3. 발전목표 (1) 설 계 : 측량, BIM을 활용한 디지털정보모델을 적용한 설계자..

지적측량(분할, 토지이동) 처리절차

□ 지적측량 의뢰(고객) ①지적측량 의뢰방법 - 방문, 지적측량 접수창구(시,군구청 민원실) - 인터넷-지적측량 바로처리센터(http://baro.lx.or.kr/) - 전화-바로처리콜센터(1588-7704) ② 의뢰서 제출 - 의뢰서 제출, 필요시 위임장, 각종허가서, 각종고시 서류 ③ 수수료 납부 - 지적측량 전일까지 완납 □ 한국국토정보공사 ① 측량일자 협의 ② 측량계획서 제출 ↔ 검사정리부 등재(지적소관청) ③ 측량준비 ↔ 자료열람 및 제공(지적소관청) ④ 현지측량 - 측량성과 작성 ⑤ 측량성과 검사요청 → 지적소관청 ⑥ 결과부 교부 □ 지적측량 의뢰 고객(토지주 및 이해관계자) ① 결과부 수령 ② 토지이동신청 → 지적공부정리(지적소관청) ③ 지적부등본신청 → 지적공부등본교부(지적소관청)

평면측량 / 측지측량

1. 개요 측량이란. 우리가 생활하는 지구뿐만아니라 우주공간상의 있는 모든 점들의 상호위치를 결정하고 그 특성을 해석하여 도상에 표현하고 도상의 위치를 현지에 재현하는 것을 말한다. 2. 평면측량과 측지측량 (1) 측지측량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측량 지역이 넓은 곳(허용정밀도 1/1,000,000)에서 실시되며, 주로 국가기준점의 정확한 위치 결정 및 지구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측량으로 기하학적 측지학 뿐만아니라 물리학적 측지학의을 적용하여야 하는측량으로, 대지 측량이라고도 한다. (2) 평면측량 지구곡률을 고려하지 않는 측량으로 허용정밀도 1/1,000,000이상으로 반경 11km이내, 면적380㎢이내를 평면으로 간주하여 시행하는 측량으로 소지측량이라고도 한다. 3. 측지측량과 평면..

토공사의 체적산출방법

토공사의 체적산출방법 1. 개 요 토공사의 체적산출은 거의 모든공사의 가장 기본이 되는 필수산출서로서 토공의 절토 및 성토량 구조물 및 관로공사의 터파기와 되메우기등 건설공사의 계획, 설계, 시공의 전 과정에서 기본이 되는 측량분야로 정확한 체적을 산출하기 위해 측량사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요소이다. 2. 체적산출 방법 (1) 단면법 : 노선이 긴 공사에 주로 사용(도로, 철도, 하천 등) ① 양단면 평균법 : 토공량이 가장 과다 산출. V= (A₁+A₂) / 2×L ② 각주공식 : 가장 정확한 산출.(심프슨 제1법칙) V= h/6(A₁+4Am+A₂) ③ 중앙 단면법 : 토량이 가장 적게 산출 V=Am×L (2) 점고법 : 넓은지역의 토공계산에 활용 삼각형, 사격형을 구역화 하여 평균면적에 평균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