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중심 지구고정좌표계(Earth Centered Fixed Coordinate System)
1. 개 요
오늘날 우주측지 기술의 발달로 두점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mm수준의 위치결정이 가능해 졌다.그러나
지각변동에 의한 기준점의 벡터가 변화하였다고 수시로 측지성과를 변경하면 혼란이 발생되므로 지각변동이
발생되더라도 변동이 없다고 가정하여 사용하기 위해 지구중심 지구고정좌표계(정적좌표계)를 개발함.
2. 지각변동벡터 고려에 따른 좌표계의 분류
(1) 정적좌표계
- 지각변동이 없다고 가정 모든 측지좌표를 특정시점에 고정하여 결정
- 시간에 따른 측지 기준점의 성과가 변하지 않는다.
(2) 동적좌표계
- 지각변동을 고려 시간에 따라 측지기준점의 성과가 변화한다. (X,Y,Z,T 4차원 측지좌표계)
- 지구상의 절대좌표를 항상 정확하게 결정할수 있다.
- 세계측지계(ITRF) 구현에 활용된다.
(3) 준동적 좌표계
- 정적좌표계와 같이 특정시점을 측지기준점을 고정
- 측지계산은 지각변동벡터를 이용 기준시점으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3. 정적좌표계의 특징
(1) 측지기준점의 성과가 항상 고정이다.
(2)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성과시 측지성과의 전면개정이 불가피하다.
(3) 지각변동이 심한 국가에서의 사용시 부정오차가 많이 발생된다.
4. 정적좌표계의 단점
(1) 지구의 지각변동 변화를 측정하기 어렵다.
(2) 측지성과가 결정되면 특별한 사유없이 측지기준점의 성과는 유지된다.
(3) 측지기술의 발달로 초정밀 관측이 가능해진 오늘날 기존의 측지성과를 유지하면 부정오차의
발생이 높아 혼란발생
'측량 · 총론및 측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0회 측량및 지형공간정보기술사 (0) | 2020.02.08 |
---|---|
기술사 면접시험 대비요령 (0) | 2019.09.21 |
자오선 수차(119회 1교시1번) (0) | 2019.08.12 |
횡메르카토르 투영도법(TM) (0) | 2019.07.03 |
구면 삼각형 / 구과량 (0) | 2019.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