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 · GNSS

3중 차분(3중차, Triple Difference) 119회 1교시 5번

건설시공 측량기술사 2019. 8. 13. 08:22

3중 차분(3중차, Triple Difference)


1. 개 요

    GNSS 정지측위법으로 기준점측량을 수행할때 기지점과 미지점에 복수의 GNSS수신기를 설치하여

    위상차를 측정, 기선해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차분기법을 사용하며 3중차분법은 모호정수를 해결하는데

    활용되는 기법이다.


2. GNSS측위의 기본 조건

    (1) 공통의 위성신호는 같은 궤도오차를 갖는다.

    (2) 하나의 수신기의 위성신호는 같은 시계오차를 갖는다.

    (3) 두점의 거리가 짧다면 대기효과는 비슷하다.


3. 차분기법의 종류

    (1) 1중차분    

          - 1대의 위성신호를 두대의 수신기로 관측

          - 위성의 궤도오차, 위성의 시계오차가 소거된다.

    (2) 2중차분

          - 2대의 위성신호를 두대의 수신기로 관측

          - 수신기의 시계오차를 소거된다.

          - 1중차를 두번 관측

    (3) 3중차분

          - 특정한 시간에 관측된 위상차와 다음 시간의 위상차의 차이값을 산출(적분 위상차)

          - 2중차분을 두번 관측

          - 모호정수를 해결

          - 위상차의 변화를 관측한다.

          - 2중차보다 NSR이 낮다.


'측량 · GN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NSS 높이측량의 가이드라인(국토지리정보원 20.01)  (0) 2020.08.11
VRS(점보간 방식) 네트워크 RTK  (0) 2019.10.07
A-GNSS (Assisted GNSS)  (0) 2019.07.19
FKP (네트워크-RTK)  (0) 2019.07.18
I-DGNSS  (0) 2019.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