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 · 총론및 측지학

KNGeoid18(국가지오이드모델)의 활용

건설시공 측량기술사 2019. 5. 20. 10:32

1. KNGeoid18이란

   중력 등퍼텐셜면이 일정한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시켜 지오이드와 타원체고 사이를 연속적으로 구축한 모델로 기존의

    KNGeoid14의높이 정확도를 개선하여 다양한 분야에 활용토록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개발한 국가지오이드모델이다.


2. 필요성

   (1) 항만 및 연안개발의 통일된 높이값 결정으로 혼란 최소화

   (2) 건설분야의 기초설계의 정확한 높이자료 제공

   (3) GNSS높이측량의 정확도 확보와 수준측량의 효율화 증대

   (4) GNSS 부착장비(드론, 항공측량, 수심측량등)의 효율성 증대

   (5) 글로벌 재해,재난 예방대책 수립의 자료제공 필요


3. KNGeoid18의 기반자료

   (1) GOCE위성중력자료 포함 XGM2016중력장 모델

   (2) 항공,해상,중력관측자료

   (3) 산악지 삼각점, 2차통합기준점 중력관측자료

   (4) 북한 및 접경지역 EGM08중력자료

   (5)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고시한 최신 DEM자료, 북한 및 일본은 SRTM 지형자료

   (6) 1,2차 GNSSLeveling 관측자료


4. 특 징

   (1) 제공범위 위도 33~39, 경도124~131 독도를 포함 한반도 전역

   (2) 정밀도 = 100~400m 2.15cm

                     400 이상 2.68cm

                     평균 = 2.33cm 확보

   (3) 3~4급 공공수준점 측량 적용가능(19년 공공측량 작업규정 적용 가능?)


5. KNGeoid18을 활용한 높이측량 가이드 라인

   (1) 3급 공공수준점 측량 = 1일 4시간 2일 관측 ±3.0cm 확보

   (2) 4급 공공수준점 측량 = 1일 2시간 관측 ±5.0cm 확보

   (3) 가이드 라인

        1) 기지점 3점이상 미지점을 둘러쌓도록 배치 기선길이 20km이내

        2) 대상지역의 높은 표고점 고정, 표고200m이상은 중간점 추가 고정

        3) 성과는 고시된 최신성과를 확인하여 사용



6. 활 용

   (1) 육상, 해상 연결구조물 시공의 단일 높이기준면 제공

   (2) 홍수, 쓰나미, 해일등 재해,재난 예측 및 복구 기준면 일원화

   (3) 지구물리학 및 지하자원 탐사 활용

   (4) 항공기, 선박 운항에 통일된 높이 제공으로 안전성 확보

   (5) 허용오차 이내의 건설공사 구조물의 높이측량 수행

   (6) 현장 캘리브레이션 수행없이 건설공사 높이측량으로 효율성 증대


'측량 · 총론및 측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면 삼각형 / 구과량  (0) 2019.06.17
지오이드 (Geoid)  (0) 2019.05.24
타원체  (0) 2019.05.14
한국측지계  (0) 2019.05.13
측지학  (0) 201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