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 · 총론및 측지학
한국측지계
건설시공 측량기술사
2019. 5. 13. 10:31
1. 측지계란? 지구상의 위치를 경도, 위도로 표현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좌표계와 지구의 형상을 규정한 타원체를 총칭함.
기존 기하학적으로 계산된 지역타원체(벳셀타원체)를 사용해 오다 GPS의 발전과 고정밀, 자동화, 첨단측량을 위해
전세계를 하나로 통일한 GRS80타원체(세계측지계)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2. 한국측지계의 구성
(1) 타원체 = GRS80
(2) ITRF2000 = 기존 경위도좌표체계를 지구중심좌표계인 3차원직교좌표계로 변경
(3) 지오이드(Geoid) = 기존의 수준원점(26.6871m) 유지, KNGeoid18(합성지오이드모델 이용)
(4) 평면직각좌표계 = 서부,중부,동부,동해(동경125,127,129,131 북위38)의 4개의 평면직각좌표원점 사용
축척계수 1.0000, X=600,000m, Y=200,000m TM투영도법
(5) 한국형단일평면직각좌표계(UTM-K) = 동경 127-30-00 , 북위38-00-00, 축척계수=0.9996, X=2,000,000m Y=1,000,0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