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 · 총론및 측지학

횡메르카토르 투영도법(TM)

건설시공 측량기술사 2019. 7. 3. 15:53

147. 횡메르카토르 투영도법


1. 횡메르카토르 도법은 가우스-크뤼거도법과 같은 말로 적도에 지구와 원통을 접하여 투영하는 도법으로

    길이가 정확하게 투영되는 지점은 적도부근이고  경선에 원통을 접하여 투영하는 방법이다.


2. 횡원통도법의 종류

    (1) 등거리 횡원통도법

          - 한 중앙점에서 다른 점까지의 거리를 같게 재현하는 방법, 원점에서 동심원의 길이가 같게 투영

          - y의 값을 지구상의 거리와 같게 하는 도법

          - 현 프랑스 지도의 기초, 구 유럽의 지형도에 사용됨.

    (2) 등각 횡원통도법

          - 지도상에서 모든 지점의 각이 동일하게 재현하는 도법

          - 소규모는 형상을 유지, 거리가 멀어질수록 부정확 함.

          - 가우스 상사이중투영도법과 TM투영법의 기초

     (3) 가우스 상사이중투영도법

          - 타원체를 구로 투영, 구를 평면에 등각투영하는 도법

          - 지구전체를 투영 = 소축적, 일부지역 투영 = 대축척지도 제작

          - 현 지적도 제작에 활용

     (4) 가우스-크뤼거도법(TM)도법

          - 회전 타원체에서 직접 평면으로 횡축으로 등각투영하는 방법

          - 원점을 적도에 두고 중앙경선=x축, 적도=y축으로 투영함, 축상의 거리는 지구상의 거리와 같음

          - 투영범위는 중앙경선에서 넓지 않은 지역으로 한정함.

          - 넓은 지역은 지구를 일정한 구역으로 구분하여 각각 중앙경선을 설정하여 투영한다.

          - 지구 표면상의 모든 위치를 X,Y의 측지좌표로 표현할수 있다.

          - 우리나라 지형도 제작에 활용, 남북이 긴 나라에 적합한 도법이다.

          - 축척계수 = 1.0000

      

(5) 국제 횡메르카토르 도법(UTM)

          - 회전타원체를 80˚N~80˚S 의 범위를 경도 6˚, 위도 8˚ 간격으로 투영하는 도법

          - 투영방식은 TM과 동일 다만 축척계수만 0.9996으로 범위를 넓힘.

          - 지도제작시 구역의 경계가 0.5˚씩 중복 빈틈이 생기지 않음.

          - 우리나라 1/50,000군사지도에 활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