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 · GNSS

I-DGNSS

건설시공 측량기술사 2019. 7. 1. 17:54

I-DGNSS



1. I-DGNSS란

   GNSS측위의 방법으로써 이동국의 위치 및 변위량을 관측하기 위해 관리자 중심의 측위방법으로 사용자 중심의

   DGNSS측위의 역 DGNSS관측의 개념을 말한다.


2. I-DGNSS 의 원리

   다수의 이동국의 수신기의 위치 및 변위량을 관측하기 위해 이동국 관측데이터를 기준국으로 전송하여 위치보정량을

   계산 이동국의 변위량을 관측하는 원리


3. 특 징

    (1) 다수의 이동국 GNSS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설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2) 실시간으로 관측데이터를 수신, 보정할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함.

    (3) 교량의 실시간 변위관측으로 안전성 확보, 화산활동을 감시

    (4) GNSS와 동적계측기를 함께 사용하여 미세한 변위량을 실시간으로 관측할수 있다.


4. DGNSS 와 I-DGNSS비교

    (1) DGNSS : 기준국 → 이동국, 위치보정 = 사용자, 보정영역 : 코드 의사거리, 서비스 대상 : 다수의 사용자

    (2) I-DGNSS : 이동국 → 기준국, 위치보정 = 관제국, 보정영역 : 코드 의사거리,항법해  서비스 대상 : 소수의 관리자


5. 활용

    (1) 차량의 관제 : 자동차의 위치결정

    (2) 기반시설물의 구조물의 변위 : 실시간 변위로 안전범위를 벗어나면 위험성 전파

    (3) 화산 및 지진의 감지 : 화산활동의 감시, 지진발생 감시 가능

   

★ I-DGNSS는 관측을 위해 추가적인 설비와 시스템이 필요하다.

   국가의 중요시설물 변위관측으로 국민의 안전성 확보(해상교량 및 고층빌딩), 백두산의 화산활동 연구 및 변위관측 가능

   특정 차량의 위치및 이동경로 활용 등 여러분야에 활용성이 높은 측위기술로 현재 학계와 정부에서 실시간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이다.